목록지하철노선도 (5)
생활상식 자료실
지하철 노선을 외우거나 이야기를 들어서 알기에는 원하는 목적지까지 가기가 어렵다. 그럴때에는 지하철 표 구입하는 곳에 가서 지하철 노선도를 달라고 하자. 그러면 조그만한 노선도를 준다. 그것을 보고 원하는 목적지를 정해서 가면 좋다.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하철 빨리 갈아타기 출처- http://samak.co.kr
뭐 대단한것은 아니고요... 교수님이 말씀하신건데... 지금은 조금 나아진것같은데..1호선 지하철 여름에 타려고 지하에서 기차 기다리고 있으면 엄청덥죠..(나만 그런가?)..그 이유가 지하철이 역에 정차할때 마다 남는 전력을 배출하기때문이래요...즉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배출하는 뭐 그런거죠...그러나, 5호선이하 새로 생긴역들은 여름에 지하에 있어도 그리 덥지가 않은 이유가 전동차가 달리는 힘으로 전력을 생산해서 다시 달리는데 재활용한다는 거죠..그래서 5호선같은 경우는 1호선하고 소리도 틀려요... 정차했다가 출발할때 소리가 위이~~잉~~잉 하면서 점점 소리가 커지죠... 하도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여서 자세한것은 기억이 잘 안나내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요건 몰랐지? 지하철의 명당 자리 지하철을 이용해 장시간 출퇴근 하는 직장인들. 아침 출근시간이나 저녁 퇴근 시간 지하철에서의 짧은 단잠은 피로를 잊게 해주잖아요. 그런데, 지하철 의자에도 명당자리가 있다는 사실 아세요? 7명이 앉을 수 있는 긴 의자의 경우 양쪽 끝에서 두번째 자리, 바로 그 자리가 명당이라는 거 아니예요. 특히 겨울철에는 더더욱 말이예요. 왜냐? 바로 빠방한 스팀 덕이죠. 다리 사이로 따뜻한 스팀이 나오면 잠이 절로 오겠죠? 게다가 창문이 반쯤 걸려 있는 자리라, 뒷머리를 기대고 자기에 안성맞춤이랍니다. 앞으로는 끝에서 두번째 자리만 노릴 거예요! 출처- http://web.ggambo.com
하하 ^^; 이걸 많이 질문을 하시는데요. 딴 사람들은 그냥 '구형차니까?' 라는 단순한 생각에 지나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승차감이 않좋은건 따로 있습니다. (저항차 기준) 왜냐? *저항차(구형차)들은 가속을 계단식으로 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안좋습니다. (쉽게 얘기하자면요. 자동차 수동변속기로 변속하는거와 마찬가지 ^^;;) 그래서 만원일 경우 사람들이 넘어지는 사례를 많이 봤습니다..-_-; 이것을 반대로 얘기하자면, *VVVF차량 (인버터제어, 일명 새차) 들은 가속을 부드럽게 (저항열차하고 딴판) 하기 땜에 (전기도 덜먹고;) 그나마 승차감이 좋습니다. 음. VVVF차량을 혹평하자면 구동음이 구형차량보다 큽니다 ^^;; 요즘엔 구형차량들의 퇴직시기가 점점 좁혀지면서 한 약23년 후면 VV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