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방구 (2)
생활상식 자료실
방패연 '동국세시기' '경도잡지' '지봉유설'의 문헌을 살펴보면 연의 종류는 100여종으로 이들은 대개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우리 나라 연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4각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 연 면에 붙이는 색지의 모양에 따라, 또는 그림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연의 생긴모양, 즉 외형에 따라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그중 전자의 연으로 꼭지연, 반달연, 치마연, 동이연, 초연, 박이연, 등이 있고 기타 연으로 귀머리장군연, 박둑연, 오색연, 문자연, 나비연, 삼봉산눈쟁이연, 중머리연, 편자연, 상주연, 제비연, 용연, 홍이연, 족제비연, 십자연, 박대연, 사람연 등이 있다. 연을 만드는 재료는 대와 종이로 대는 통상 고황죽, 백간죽을 사용하며, 종..
정말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면 앞에서 말씀하신 분들과 같이 필사본을 만드는 것입니다. 일단은 문학의 경우만 말씀드리면 그렇다는 겁니다. 특히 갈피를 못잡고, 원고지 스무장을 넘기 지 못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이런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게 왜 필요할까 생각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문장 의 속도감, 맺고 끝는 감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는 점입니다. 앞 서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조정래 선생님이 필사를 매우 강조했다는 얘기는 무척 유명하고, 또 유명 작가들의 경우 알 고 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런 경험을 가진 작가들이 꽤 있습니 다. 이를테면 신경숙씨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필사본 을 만든 경험을 무척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데, 외딴방에서 여 러번 언급이 됩니다. 제 나름대로 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