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양념 (10)
생활상식 자료실
갓물김치 1. 재료. 갓 5백g,무 5백g,채썬 파와 마늘 각각 20g,소금물(소금 60g,물 3ℓ) 2. 만드는 법. ①푸른잎 갓을 골라 씻어 소금에 살짝 절인 다음 건져 5㎝크기로 썬다. ②무는 3×3×0.4㎝로 납작하게 썰어 소금에 살짝 절인 후 물기를 뺀다. ③갓과 무,채썬 파와 마늘을 항아리에 넣고 소금물을 붓는다.
생강은 보통 모래흙 속에 보관해 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할 때마다 꺼내서 씻고 닦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얼어버릴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생강을 오래 보관하려면 생강을 한꺼번에 껍질을 벗긴 다음 얇게 썰어 햇볕에 바싹 말려서 봉지에 보관해 두는 것이 훨씬 좋다. 그렇게 해서 먹을 때마다 몇 개씩 꺼내어 주전자에 물과 함께 약한 불로 끓이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생선을 졸일때, 생선을 담은 남비에 먼저 간장을 붓고 졸이다가 그 다음에 갖은 양념을 치는 것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는 제맛이 나지 않으며 또 비린내가 나기도 쉽습니다. 그러므로 생선을 맛있게 졸이려면 먼저 생선의 아가미를 떼어낸 다음 맹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넣고 끓이다가 나중에 간장을 넣어야 생선맛이 전체에 골고루 퍼져 맛이 있게 졸여집니다.
생선을 조릴 때, 생선을 담은 냄비에 먼저 간장을 붓고 조리다가 그 다음에 갖은 양념을 하는데, 이렇게 하면 제맛이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가 나기도 한다. 먼저 생선의 아가미를 떼어낸 다음, 맹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넣고 끓이다가 나중에 간장을 넣는다. 생선 맛이 전체에 골고루 퍼져 맛있게 조려진다.
마늘은 어느 음식에나 들어가는 중요한 양념이지만 까고 찧는 일은 매우 번거롭다. 도마위에 마늘을 한개식 올려놓고 찧으려면 튀겨나가고 찧기도 힘들다 이럴때는 라면이나 비닐 봉지를 깨끗이 씻고 물기를 없앤다음 마늘을 넣고 봉지채 찧으면 쉽게 찧을 수 있다.
설탕은 건조해서 수분이 없어지면 입자가 연결되어 굳어지기 시작하는 성질이 있는데여... 건조가 계속 진행되면 결국은 커다란 덩어리가 되어버리죠... 그러면 우린 그 설탕을 숟가락으로 박박 긁어도 잘 긁어지지가 않는데여... 그걸 해결하는 방법이 있어여.... 굳어진 설탕에 한 입 크기로 썬 식빵을 넣고 6시간 정도만 기다려 보세여... 그러면 설탕은 원래 설탕의 상태로 다시 되돌아 간답니다... 왜그러냐면여.. 설탕의 입자가 빵의 수분을 흡수해서 연결이 풀리기 때문이라네여...
■ 상차림의 종류 상차림의 종류는 일상식에서는 상에 차려내는 주식에 따라 나누고, 상을 차리는 목적에 따라 여러 상차림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식에는 상에 오르는 주식의 종류에 따라 밥과 반찬을 주로 한 반상과 죽상, 면상, 만두상, 떡국상 등이 있고 손님을 대접하는 상은 교자상, 주안상, 다과상 등이 있다. 의례적인 상차림으로 돌상, 큰상, 젯상 등이 있는데 혼례, 제례 및 연례에서는 일상식과는 전혀 다른 상차림을 한다. 즉, 혼례, 회갑, 회혼 등의 경사스러운 의례 상차림은 큰상이라고 하여 여러 가지 과일, 다식 등을 괴어 담는데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솜씨가 필요하다. 1) 반상차림 반상은 밥을 주식으로 하여 여기에 어울리는 반찬을 부식으로 구성한 상차림이다. 보통 어린 사람에게는 밥상, 어른에게는 ..
일단 준비물.. (간장. 콜라(조금하실꺼라면 캔으로..)키위(없으면 배를)버섯, 올리브유 1. 일단 통에 간장을 부어요.. 2. 콜라를 넣습니다..(1컵~2컵) 3. 다음에는 키위 아니변 배를 갈아서 넣어요...(키위나 배를 갈아 넣으면 고기가 부드러워 집니다..^^) 4. 후라이펜에 올리브유를 조금만 부어주시고 버섯을 살짝 볶아 줍니다...(그냥 넣어도 됩니다...) 5. 볶은 버섯을 아까 준비해둔 양넘에 넣습니다.. 6. 다음에 고기를 넣고 버무려 주세요.. 음.. 이건 제가 직접 해본건대요.. 원래는 고기 잴때 하루 걸려야 되는데 이렇게 하면 몇십분에서 몇시간 후면 바로 먹어도 맛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