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상식 자료실
고들빼기 김치 담그는 방법 본문
천연 야생식물인 고들빼기(학명 Ixeris Sonchifolia)는, 늦가을에 찬서리를 맞고
잎과 줄기가 짙은 녹색이 되며 조직이 한결 더 질겨진다.
뿌리까지 통째 소금물에 울궈서 쓴 맛을 없앤 다음 사용한다.
고들빼기 김치는 갖은양념과 짙은 젓국에 버무려 담그는 남도 지방의
토속김치로 유명하다.
옛부터 고들빼기에는 약미성분(藥味成分)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전해져왔다.
재료
* 고들빼기 2kg: 뿌리째 다듬어 소금물(농도 2 - 3%)에 넣은 다음, 3 - 4일 쓴 맛을 울궈낸다.
* 무 1kg: 어른의 새끼손가락 크기만하게 썬다.
* 풋고추 1/2kg: 중간 크기로 단단한 풋고추를 삭힌다.
* 쪽파 1/2kg: 뿌리만 자르고 통째 사용한다.
* 쌀가루풀 1컵(1cup)
* 멸치젓 1컵(1cup): 곱게 다진다.
* 황새기젓 오징어젓 갈치젓 등의 살토막을 넣기도 한다.
* 다진 마늘 1컵(1cup): 곱게 다진다.
* 다진 생강 1/2컵(1/2cup): 곱게 다진다.
* 김치용 고춧가루 1컵(1cup)
* 고운 고춧가루 2/3컵(2/3cup)
* 실고추 1/2컵(1/2cup)
* 맑은 액젓 1컵(1cup)
* 소금: 천일염
담그는 법
1. 소금물에 울궈낸 고들빼기를 찬물로 깨끗이 헹궈 소쿠리에 건진다.
썬 무도 한줌의 소금을 뿌려 숨을 죽인 다음, 건져 물기를 뺀다.
2. 넓은 그릇에 쌀가루풀 멸치젓 고춧가루 마늘 생강을 넣고 고루 섞는다.
오징어젓 꼴뚜기젓 황새기젓 갈치젓 등의 살토막을 넣으려면 이때 넣는다.
3. 위 양념에 고들빼기 무 풋고추 쪽파를 넣고 버무린다. 실고추를 뿌려 넣고
항아리에 담은 다음 우거지로 덮는다.
4. 눌림을 해서 뚜껑을 덮고 찬 곳에 둔다. 봄이나 여름에 먹으려면 땅 속에 묻는다.
고들빼기 자체의 강한 섬유질과 많은 양의 젓갈에 의한 방산(화)작용으로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다음해 늦봄이나 이른여름까지도 변패됨 없이 잘 보존된다.
원료 고들빼기를 채취해서 담그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아서, 희소 가치가 있다.
특수김치에 속하는 저장 야채절임이다
'맛있는 요리법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도라지 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
더덕 물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나박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게쌈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통무 소박이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섞박 통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섞박 동치미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통배추 동치미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통배추김치 담그는 방법 (0) | 2007.06.22 |
간장소스 채소볶음 만드는 방법 (0) | 2007.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