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생활정보 (218)
생활상식 자료실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첫번째 다이아몬드인 유리카는 그것의 크기로 볼 때 그리 특이할만한 것이 못되지만 그 역사적인 충격은 주목할 만하다. 그 돌의 이름은 "나 를 찾아냈다" 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그 이야기는 케이프 콜로니의 호웁 타운 지역에 있는 오렌지강 근처의 한 농장에서 시작된다. 1866년 에라스무스 야곱과 클론키라는 이름 의 한 호텐토트 출신 양치기가 나무를 베러 나갔다. 가는 도중 클론키는 에라스무스에게 반짝이는 조약돌 하나를 던져 주었는데 에라스무스는 그것을 주머니에 넣고 집에 가져와 누이 동생에게 가지고 놀라고 주었다. 얼마 후 셔크 반 니에커크가 야곱가의 농장을 방문한 일이 있었다. 부인은 그 반짝이는 돌에 관해 이야기를 해 주었는데 다이아몬드는 유리를 긁을 만큼..
전설과 소설속에는 많은 거대한 다이아몬드 이야기가 나온다. 불교 전설에는 원둘레가 100피트 되는 다이아몬드 하나로 만들어진 옥좌가 나오며 미국의 소설가인 피츠제랄드는 리츠 호텔 만큼이나 큰 다이아몬드에 관한 이야기를 썼다. 그러나 여태까지 발견된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겨우 주먹만한 크기이다. 1905년 1월 25일 프리미어 광산에서 금무하던 근로자들이 그 날 작업을 끝마쳤을 때 광산 감독관인 프레드릭 웰즈는 마지막 작업 순시를 하고 있었다. 갑자기 근로자 한 명이 그에게로 뛰어와 앞뒤가 맞지 않게 떠듬거리면서 뭐라고 말을 하였다. 그는 웰즈씨를 데리고 구멍 끝으로 가서 손으로 가르켰다. 구멍 벽면에 박혀 있던 무엇인가가 지는 저녁 노을 속에서 반짝반짝 빛났다. 웰즈씨는 아마도 그것이 유리조각 일지도 모..
1988년 3월 11일...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의 리더라고도 말할 수 있는 드비어스 회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킨버리시에서의 저녁식사 모임에서 공식발표했다... "남아프리카 광산에서 가장 좋은 클라리티이며 거대한 크기의 다이아몬드를 발견했다. 드비어스 사의 세번째의 크기이다" 라고... 센테너리 다이아몬드는 1986년 7월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프리미어 광산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 원석상태에서 599.10 캐럿이었다.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연마사인 가비 톨코프스키 (Gabi Tolkowski)의 지도하에 소수 정예팀이 총 3년에 걸쳐 이 원석을 최고 품질인 D color, FL 등급의 다이아몬드로 연마 되었다. 총 247면으로 연마된 이 다이아몬드는 윗부분 164면 아랫부분 83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센테..
출처 : http://www.w365.com/
티스토리에서 Eolin Plug-in 을 활성화 시키면 본문 하단에 북마크, 추천 버튼이 생깁니다. 이 Plug-in 은 본문 내용을 표시해 주는 치환자 ([ ##_article_rep_desc_##]) 내부에 포함되기 때문에 skin.html 에서 수정이 힘들죠. 하지만 버튼을 왼쪽으로 정렬하고 싶다거나 아이콘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CSS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Eolin Plug-in의 출력 부분입니다. 이올린에 북마크하기 (13) 이올린에 추천하기 (10) 이것에 맞춰 style.css 파일을 작성하면 되겠죠. 예를 들면../*Eolin Plug-in */ .EolinBmVote { border-top:1px dashed #ddd; padding:5px 0 0 0 !importan..
예수의 피가묻은 기적의 창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호프부르크(Hofburg)박물관에 전시중인 롱기누스의 창 롱기누스의 창(Lance of Longinus)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혀 있을 때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서 롱기누스(Longinus)라는 로마병사가 창으로 예수의 심장을 찔렀으나 빗나가 옆구리를 찔러 피가 흘러나와 예수의 피가 묻은 신성한 창이라고 한다. 롱기누스는 창으로 예수를 찌른 순간 눈이 멀었으나 창에 흐르는 피로 눈을 씻으니 회복되어 그후 예수의 열렬한 추종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이 창은 롱기누스집안에서 전해져오다가 그 후손이 로마에서 밀라노칙령으로 기독교를 공인했던 콘스탄티누스황제에게 바친다. 그는 이 창이 하느님의 뜻으로 인도해 준다고 믿어서 부적처럼 몸에 지녔다고 한다. 그후 ..
엘시드(El Cid,1043~1099.7.10)는 중세 기사 시대에 실존했던 스페인의 명장이다. 본명은 로드리고 디아즈(Rodrigo Díaz de Vivar)이며 카스티야의 부르고스(Burgos) 근처 비바르(Vivar)출신이다. 시드(Cid)는 스페인식 아랍어로 군주(sidi)란 뜻이지만 투사 (El Campeador,the Champion)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Cid 란 영어로는 sir,lord(군주,영주) 라는 뜻이다. 스페인에서는 최고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에 비견되는 인물이다. 시대적 배경 로드리고 디아스의 아버지인 디에고 라이네스는 카스티야의 소귀족(infanzones)이었다. 그러나 엘 시드의 사회적 배경을 보잘것없는 것으로 그리고 있는 후세의 전승과는 ..